'왜 분노하느냐' 보다 '어떻게 분노할까'에 주목하자 분노가 가득 차 있으면 정신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분노는 판단력을 흐리게 하고, 의심을 키우며 편견에 사로잡히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 왜 분노하느냐' 보다는 '어떻게 분노할까'로 생각을 전환해서 한 번 더 생각해 볼 필요성이 있는 것입니다. 분노와 자아실현 분노와 자아실현 사이에는 흥미로운 연관성이 존재합니다. 분노는 부정적인 감정으로 보이지만, 올바르게 이해하고 대응할 경우 자아실현의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자아실현은 개인이 자신의 잠재적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분노의 본질과 자아실현의 관계 분노의 본질: 분노는 욕구가 만족되지 않았을 때 생기는 감정입니다. 인간의 삶에서 욕구는 매우 중요한 ..
분노와 자기애 (narcissism) " 분노는 매우 큰 힘이다. 그것을 지배할 수 있다면 세상을 통째로 움직일 수 있는 힘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윌리엄 센스톤- 분노의 힘 윌리엄 센스톤은 분노가 매우 큰 힘이며, 그것을 지배할 수 있다면 세상을 움직일 수 있는 엄청난 힘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의 이 말은 분노를 단순히 부정적인 감정으로 여기지 않고, 그 안에 담긴 엄청난 잠재력을 인식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시사합니다. 분노의 이해 분노의 본질: 분노는 강력한 에너지이며, 그것을 올바르게 다룰 줄 안다면 세상을 변화시킬 힘이 될 수 있습니다. 분노의 활용 사회적 맥락에서의 분노: 분노는 때때로 부정적인 감정으로 여겨지지만, 이를 통제하고 긍정적으로 활용하..
절망이라는 폭발적인 에너지 절망이란 더 이상 바라볼 것 없이 '모든 희망의 신호가 끊어져 버린 상태.'입니다. 특히, 절망에 빠저 있는 사람은 주변을 잘 돌아보지 못하며 집중력도 떨어지고 본인 스스로 제대로 된 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절망이란? 정신분석학에서 절망은 핵심적인 감정 중 하나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인간의 내면적 갈등, 무의식적 욕망, 그리고 트라우마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프로이트를 비롯해 여러 학자들은 절망을 이해하기 위해 개인의 무의식적 과정을 탐구해 왔습니다. 정신분석학적 접근 정신분석학은 개인의 무의식을 탐구하여 그 속에 숨겨진 욕망, 충동, 감정 등을 이해하고자 합니다. 무의식적 마음의 탐구: 무의식적 마음은 대부분 용납할 수 없는 사고, 소..
고독과 외로움은 구분 되어야 한다. 고독은 '혼자 있어 외로움' 이며 외로움은 누군가와 가까이 있고 싶고, 연결되고 싶은 인간의 기본 욕구 입니다. 그러나 이 두가지가 비슷 할 순 있어도 구분 되어야 합니다. 고독 정신분석학에서 고독은 단순히 사람들과 격리되어 있는 상태를 넘어서는 깊은 의미를 갖습니다. 철학적, 심리학적 차원에서 고독과 외로움은 구별되며, 이러한 구별은 인간의 내적 경험과 심리 상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차이를 제공합니다. 외로움과 고독의 구분 외로움: 타인과의 관계가 단절되었을 때 느끼는 거절당한 소외감입니다. 사람들과의 접촉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러지 못할 때 경험하는 부정적인 감정입니다. 고독 (Solitude): 자발적인 자기격리로, 타인이 나를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도 그것을 ..
완벽주의는우울증을 더 심해지게 한다. 힘든 일이 있을수록 공부에 파묻히거나 일을 더많이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마음의 고통을 행동으로 가리며 사는 사람들 중 남의 눈에는 성공적인 인생을 사는 듯이 보이곤 합니다. 완벽주의가 우울증을 더 심해지게 할 수 있을까? 완벽주의자는 종종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준을 자신이나 타인에게 설정하는 경향이 있어, 이로 인해 발생하는 실패 또는 부담감이 우울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완벽주의와 우울증의 상관관계 서로를 자극하는 관계: 완벽주의적 성격을 가진 사람은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증가하고, 반대로 우울증은 완벽주의 경향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사회적 관계 단절: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실패하는 것이 우울증 위험을 높이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
일부러 실패자가 되고 싶은 건 아닌가요? "모두에게 자기를 망치려는 마음의 씨가 있다. 그것이 크도록 내버려 두면 불행이라는 열매를 맺을 뿐이다." - 도로시아 브랜디- 마국의 작가 도로시아 브랜디가 얘기한 것으로 인간 마음과 부정적 생각 패턴에 대해 심리학과 자기 파괴적인 생각과 생동이 어떻게 우리의 삶을 해치는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로이트가 주장한 죽음 본능(Todestrieb) 자그문트 프로이트는 죽음 본능을 인간의 기본 본능 중 하나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인간 내부의 자기 파괴적인 성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종종 파괴 충동으로도 해석됩니다. 프로이트의 이 이론은 복잡하지만, 인간 본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죽음 본능의 기본 개념 자기 파괴적인 힘: 죽음 본능은 자신을..